공공금융
공공금융(PF; Public Financing)은 보스코인 커뮤니티가 실물경제의 다양한 자산을 획득하기 위한 신용창출 수단이다. 공공금융은 커뮤니티 외부의 제3자로부터 투자를 받는 것이 아니라, 커뮤니티 자체적으로 보스코인을 추가 발행하는 것을 뜻한다. 즉, 추가 발행의 주체는 커뮤니티 자신이다. 커뮤니티 스스로가 의회 네트워크를 통해 추가 발행과 정책을 제안, 검토, 투표, 결정한다. 이렇게 결정된 내용은 보스코인의 트러스트 컨트랙트를 통해 실행된다. 그리고 트러스트 컨트랙트를 통해 실행된 공공금융(PF)을 통해 확보한 실물경제의 다양한 자산 및 투자의 결과물은 커뮤니티에 귀속되고, 별도로 커뮤니티 구성원에게 분배되지 않으며, 그 운용 역시 커뮤니티 스스로 주체가 되어 결정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공공금융(PF)이라고 정의한다.
공공금융(公共金融), 즉 퍼블릭 파이낸싱(public financing)이라는 용어는 기존 투자은행들의 비즈니스 모델인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에 대비하여 만든 용어이다. 공공금융(PF)은 두 가지 측면에서 공공적이다.
첫째, 금융주권 즉 금융과 관련한 의사결정 권한이 커뮤니티 구성원 다수에게 있다. 이때 퍼블릭의 의미는 "공공재에 투자한다"는 개념보다는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기존 금융기관만 하는 것이 아니라, "보스코인 커뮤니티 멤버들의 합의에 의해서 신용을 창출한다"는 개념에 가깝다. 이러한 커뮤니티의 의지와 의사결정에 의한 신용창출 방식은 자본주의 체제의 문제 중 하나인 금융주권 문제를 해결한다. 보스코인 네트워크에서 공공금융이 가능한 이유는 보스코인이 의회 네트워크라는 거버넌스 체계를 갖췄기 때문이다.
둘째, 확보한 실물경제 자산을 커먼즈(commons)로 본다는 것은 발생한 부(富)를 경제적 의미에서 "커뮤니티 공동의 것으로 본다"는 뜻이다. 즉, 커뮤니티가 공공금융을 통해 커먼즈를 확보하고 커먼즈를 통해 발생하는 부를 커뮤니티 멤버들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공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서론에서 언급한 자본과 기술에 의해 발생하는 노동 소득 감소 혹은 종말이라는 자본주의 체제의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보스코인 커뮤니티가 의회 네트워크에 발의한 공공금융 안건은 공공금융 정책과 목적, 기대효과 외에 발행 규모, 발행 조건과 커뮤니티 멤버들과의 이익 공유, 지속 가능한 경제 시스템에 대한 재투자 등을 포함할 것이다. 그리고 구체적인 투자 전략은 개별적인 공공금융 안건에 의하여 정해질 것이나, 단순한 금전의 대여나 이와 유사한 형태의 대출은 지양할 것이며, 보스코인 네트워크 참여 기업에 대하여 불가피하게 금전적 지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자를 수취하지 않는 방법으로 지원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처럼 보스코인 네트워크의 참여자 모두에게 실질적인 이익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공공금융(PF)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다른 프로젝트들과 차별화되는 보스코인의 비전, 정체성이자 경쟁 전략이다. 또한 보스코인 백서 개정판에서 소개할 보스코인 네트워크 참여 기업인 GTTP의 생태계 구축을 위한 메커니즘이기도 하다. 실제 공공금융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보다 현실적인 방안을 만들기 위해, 일정 규모의 공공금융을 파일럿 형태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러한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 세부적인 프로세스와 다양한 데이터를 커뮤니티에 제공하여 의사결정의 질을 높인 뒤 본격적인 의회 네트워크 투표 프로세스를 적용할 계획이다.
보스코인의 공공금융(PF) 파일럿 프로그램은 리버스 ICO 파트너 프로그램(RIPP; Reverse ICO Partner Program)의 형태로 구체화되었다. 공공금융은 그 목적에 따라, 투자를 위한 중소기업형 공공금융(SME PF: Small and Medium Enterprise Public Financing), 커뮤니티 보상을 위한 보상 공공금융, 보스코인 인프라 구축을 위한 인프라와 시스템 공공금융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에서 SME PF의 경우에는 파트너사의 비즈니스 모델 검증, 사업 역량 검증, 보스코인과의 시너지 효과 검증 등의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공금융(PF) 실행 이전에 파트너사에 대한 일련의 검증 절차로서 리버스 ICO 과정을 포함하는 파트너 프로그램(RIPP; Reverse ICO Partner Program)을 개발하였다. 파트너사는 RIPP 단계를 거치면서 비즈니스 모델과 사업 역량을 커뮤니티에서 검증 받게 되고, 이를 통해 커뮤니티는 최종적으로 의회 투표를 통해 해당 파트너사의 공공금융(PF) 참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